본문으로 바로가기

대한민국 대통령실

어린이 언어별 바로가기 EN

보도자료

공유하기

「국가 AI 안보 협의회」 출범

2025.03.28

「국가 AI 안보 협의회」*출범

- 대통령실, AI 안보 현안 논의를 위한 범국가적 협의회 개최 -

- 생성형 AI 등 안보 위협에 대한 부처별 대응 현황 점검 및 협업체계 구축 -

 

국가안보실은 오늘(3. 28, 금)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 주재로 인공지능(AI) 관련 안보 위협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유관기관 합동 회의를 개최했습니다. 이날 회의에는 AI 관련 정책 및 위협 대응 등 AI 안보와 관련된 7개 정부 기관** 국장급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.

 

* 국가 AI 안보 협의회 영문명 : National AI Security Consultative Group

** 국가정보원,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외교부, 국방부, 행정안전부, 개인정보보호위원회,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

 

왕 차장은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생성형 AI 등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 반면, 동시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특히, AI 기술 오용과 통제력 상실 등으로 인한 중대한 사이버 안보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가안보 차원에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

 

참석자들은 이번 범정부 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대통령실과 유관기관이 AI 안보 관련 정책과 현안을 신속하게 공유하고 논의해, AI 안보 위협에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로 했습니다.

 

이날 첫 회의에서는 AI 안보 위협 실태 및 부처별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, 향후 협력 과제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.

 

국가안보실은 앞으로 AI 기술 활용에 관한 국가안보 차원의 위해성 검토 등 중요 사안에 있어 관계부처 간 논의가 필요한 경우 동 협의회를 가동하는 한편, AI 관련 공공기관들로 구성된 별도의 실무그룹도 운영할 예정입니다.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국가안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이 간사 기관 역할을 수행하고, 필요시 학계와 민간 전문가를 초청해 함께 협의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AI 안보 위협 대응을 위한 협업 및 논의의 장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. 

 

※ AI 안보 위협 관련 참고자료 첨부